목록전체 글 (278)
개발 무지렁이

display: inline-block img태그 ◻️ 너비: 너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최소한으로 줄어든다 ◻️ 높이: 높이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최소한으로 줄어든다 🎯 목적: 글자화 ✒️ 라인: 한 줄에 최대한 많이 📶 정렬: 부모의 text-align에 의해 정렬 display: inline a태그, span태그 ◻️ 너비: 너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최소한으로 줄어든다 ◻️ 높이: 높이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최소한으로 줄어든다 🎯 목적: 글자화 ✒️ 라인: 한 줄에 최대한 많이 📶 정렬: 부모의 text-align에 의해 정렬 ⚠️ 주의: width, height, margin, padding 속성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다. display: block ◻️ 너비: 너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QueryDSL Java로 SQL처럼 구현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 Entity클래스로부터 파생된 Q클래스가 필요하다. ex. Member클래스로부터 QMember클래스가 만들어져야 한다. (Intellij, Gradle -> Tasks -> other -> compileQuerydsl, Entity클래스를 수정할 때마다) build.gradle 🐘 buildscript { ext { queryDslVersion = "5.0.0" } } plugins { ...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 dependencies { ...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queryDslVersi..

옵저버 패턴 관찰대상에 변화가 생겼을 때, 연결된 대상에 2차적 행동을 하는 구조를 말한다. 관찰대상(버튼)이 있어야 한다. 관찰대상(버튼)에 무언가를 맡겨야 한다. 변화가 생겼을 때, 연결된 Listener의 메서드를 호출해야 한다. Listener를 따르는 클래스의 오버라이딩된 메서드에서 실제 작동하는 메서드를 호출해준다. ❓ Listener는 표준 규격이다. : 2022년 자동차(버튼)를 만들 때 국제 표준 타이어 규격(Listener)에 맞춘다 2028년 미쉐린 타이어(클래스)를 만들 때, 국제 표준 타이어 규격(Listener)을 따라서 만든다 2028년 한국 타이어(클래스)를 만들 때, 국제 표준 타이어 규격(Listener)을 따라서 만든다 2022년에 만든 자동차에 2028년에 만든 미쉐린..

빌드 작업한 파일들을 (개발자 작성코드, 라이브러리, 이미지) 출시하기 적합한 형태로 포장하는 일을 말한다. ex. 파일 하나로 압축, 파일 형식/내용 변환 (컴파일 언어의 경우, 빌드에 컴파일 작업 포함) 배포 데스크탑 프로그램 🖥️: 다운받을 수 있는 곳에 업로드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에 업로드 웹사이트 📑: 서버에 올린 다음 실행, 도메인으로 외부에서의 접근 경로 설정 ❓ 환경변수 :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공간마다 값을 지정할 때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 공간이 프로세스가 돌아가는 세분화된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1. 환경변수를 통해 공간마다의 값을 특정할 수 있다 2. 환경변수에 들어간 값에 따라 어떤 동작을 수행할 지 지정할 수 있다. - 개발용 환경변수 dev - 배포용 환..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고급어(C, Java, Python..)로 작성된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프로그래머가 쓴 코드를 번역하는 시점에 따라 그때 그때하면 인터프리터 언어, 미리 해놓으면 컴파일러 언어라고 한다. 코드 수정이 잦은 서비스에서는 업데이트가 수월한 인터프리터 언어를 쓰는게 좋지만 매번 그때 그때 번역해야하기 때문에 속도는 컴파일러 언어보다 느리다. Java는 컴파일 언어다 Java로 코드를 작성하고 컴파일러에 명령을 내리면 .class라는 Java Byte code로 변환된 파일이 생긴다. 이 Java Byte code는 기계어가 아니다. 그래서 운영체제(OS)가 해석할 수 없는데, 이를 자바가상머신(Java Virtual Machine)이..

Git과 Github의 차이 ⭐ Git: 버전관리 소프트웨어 ⭐ Github: Git으로 버전관리한 코드를 올릴 수 있는 원격 저장소 서비스 ❓버전관리 : 원하는 시점마다 변경사항들을 박제해서, 박제한 시점들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것을 말한다.Git 튜토리얼 로컬저장소(.git) 생성 (특정 폴더 내에서) : 이 폴더의 모든 변경사항들이 저장 git init 변경사항 만들고, stage에 올리기 git add . 변경사항을 박제한 버전 만들기 : stage에 있는 코드를 로컬저장소(.git)로 옮기는 과정 git commit -m "README.md 추가" 로컬저장소(.git)에 올라간 버전 확인 git log 변경사항 더 만들고, stage에 올리고, 박제한 버전 만들기 git add . g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