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Backend/Servlet & JSP (11)
개발 무지렁이

𐂂 아파치(Apache) 톰캣(Tomcat)은 WAS 서버의 한 종류이다. 서블릿(Servlet), JSP 등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의 구현체이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HTTP 요청을 처리하고, 웹 컴포넌트로 전달하며, 웹 애플리케이션의 배포를 담당하고 있다. 🧸 컴포넌트(Component) 란 :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은 조각으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으로써 재사용한 독립적인 기능을 가진 작은 모듈을 뜻한다. 📕 참고 자료 📕 톰캣(Tomacat)은 HTTP Request를 파싱하여, 이 내용을 HttpServletRequest 객체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 파싱(parsing) 이란 구문을 분석하여,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는 과정을 말한..

𐂂 Create a Dynamic Web Project [Project name]: 입력 [Target runtime] > [New Runtime] > Apache Tomcat v9.0 [Drag project] > Tomcat v9.0 Next > [Tomcat installation directory] > Browse... [JRE] > [Installed JREs...] jre(default) > Remove Add... > Standard VM Directory... > [Java 경로 선택] > Finish [JRE] > jdk-11 > Finish Next > Add Folder... Next > ✔️ Generate web.xml deployment descriptor > Finish ➼ 🦔..

𐂂 MVC(Model View Controller)구조를 사용해야하는 이유 🧩 유지보수 및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𐁍 진입점 컨트롤러 (DispatcherServlet) front Controller 역할 하나의 Servlet을 만들어 공유(중앙집중), DispatcherServlet ⚠️ 요청(request)당 Servlet이 만들어지면, 요청주소가 다 달라져서 관리가 힘들다. 𖠃 하나의 Servlet안에서 역할을 어떻게 분산시킬 것인가 init() 기능별(key)로 매핑될 (구현객체) Controller 정보가 문서화된 actionMapping.properties를 읽어들여 매핑시킨다. (인터페이스 Controller를 규격삼아) service() 쿼리스트링에 key정보를 담고 이를 getPar..

𐁍 Filter 인터페이스 @WebFilter(urlPatterns = {"/[pattern]"} implements Filter DispatcherServlet으로 요청(request)이 가기 전 가로챈다. (⚠️ Servlet보다 앞단에 놓인다) (⚠️ Filter를 여러개 놓을 수 있는데, 가장 먼저 사전처리된 Filter가 가장 나중에 사후처리된다.) (🩻 스프링 시큐리티(Spring Security)는 내부적으로 Filter로 동작한다) 🎯 목적: 인코딩(Encoding) 처리, 인증 여부 체크, 로깅(Logging) ➼ 🦔 인증 여부 체크 코드 🦉 HttpSession에 저장된 정보가 있는지 체크 HttpServletRequest req = (HttpServletRequest)requestl ..

속성값을 쉽게 사용하기 위한 표현언어 EL(Expression Language) ${ 표현식 } jsp 2.0 ⚠️ ${null} = ⚠️ 표현식은 연산가능함, 기본적으로 변수 or 메서드 구조 🚀 표현언어 EL의 내장객체: 생략가능하지만 생략했을 시, 속성을 '좁은 범위'부터 찾기 시작한다 1) pageScope 2) requestScope 3) sessionScope 4) applicationScope: + setAttribute() / getAttribute() ⚠️ response는 Scope가 없다. 📌. empty, not empty ${empty param.id ? "Guest님" : param.id.concat("님")} // param은 생략불가능 ${not empty param.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