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p (3)
개발 무지렁이

호스트 OS에 도커를 설치했을 때 도커를 설치하면, 랜카드가 생성되고, 172.17.0.1(IP)라는 IP로 각 컨테이너에서 호스트 OS에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다. 즉, 각 컨테이너끼리는 통신이 되지 않지만, 부모를 경유해서 접근가능하다. ⭐. 컨테이너 하나하나가 운영체제이다. 호스트 OS안에 VB안에 CentOS안에 도커를 설치했을 때 호스트 OS와 CentOS간에는 호스트 전용 어댑터를 통해 통신하고, 도커 안의 컨테이너(OS)와 CentOS간에는 생성된 랜카드의 IP를 통해 통신한다. 호스트 OS가 무엇이든 간에 도커 안쪽은 영향받지 않는다.

❓. 쉘(Shelll)이란 :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명령어 해석기' SSH(Secure SHell)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프로토콜(규약)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SSH인증(유저-암호 / 키-페어 파일)' 절차가 필요 🪛 원격제어 지원 툴 🪛 📱. 클라이언트: PuTTY ... 💻. 서버: SSHD ... VB(virtual box) 안쪽의 네트워크는 외부와 단절되어 있다. ❓. 호스트 전용 어댑터 : 일종의 외부 가상의 PC, 외부에서 안쪽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전용 IP 🪛 설정 🪛 ip addr로 호스트 전용 어댑터 IP 확인 🏓ping 날려보기 (ping 192.168.56.103)

𐂂 IP 🌐인터넷에 접속한 곳에서 기기의 네트워크상 위치를 말한다. 🌞 IPv4 : 대중화된 IP 관련 규약 (16진수 4자리가 4개 이어진 형태, 약 40억개) 𖠃 IP가 부족하다 여러 기기를 하나의 공인IP(절대유일)에 묶어 공유기를 통해 그 안에서 유일한 사설IP를 부여하면 한정된 IP를 나눠줄 수 있다. ⚠️ 다른 컴퓨터에서는 사설IP를 쓰는 기기로 접속할 수 없다.(전체적으로 봤을때 사설IP는 유일하지 않다.) 유동IP: 주기적으로 IP를 회수해서, 인터넷을 사용중인 곳에만 나눠주는 방식을 말한다 (↔️ 고정IP)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IP를 부여한다. ➼ 🦔 사설IP로 웹서비스 운영하는 방법 (공인IP: 톨게이트🏟️, 포트: 차선🚗) 포트포워딩 (포트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