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allable (2)
개발 무지렁이

𐂂 함수란? 호출할 수 있는 객체, callable (1) 작업을 처리하는 코드블럭 (🧩 코드의 재사용성) (2) 객체 타입의 값이다, 함수 객체 (3) 함수는 호출되기 이전에, 함수 몸체의 어떤것도 실행되지 않는다. ➼ 🦔 함수 리터럴 함수 객체를 생성하는 표기법을 말한다. (피연산자로 사용될 때, 함수리터럴로 해석) ❓ 일급객체: 값처럼 사용할 수 있는 객체 ➼ 🦔 함수 정의 방식 (1)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 함수 호이스팅이 일어난다. (함수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가 생성, 함수 객체가 할당) (2) 함수 표현식: 함수리터럴로 생성한 함수 객체가 변수에 할당 let add = function(x, y) { return x + y; } ..

𐂂 스레드(Thread) 개수가 폭증하면 CPU가 바빠지고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난다. 병렬작업 증가로 인한 스레드 폭증을 막으려면 스레드풀(ThreadPool)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스레드풀(ThreadPool)은 작업처리에 사용되는 스레드 개수를 제한해 놓고, 작업 큐(Queue)에 들어오는 작업들을 처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작업량이 증가해도 스레드 개수가 늘어나지 않아 성능저하를 막을 수 있다. 𐁍 스레드풀(ThreadPool) 생성 java.util.concurrent 패키지에서 Executors 클래스의 정적메서드를 이용하여, ExecutorServic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객체를 만들어 생성한다. 🌵 Executors 클래스의 정적메서드 - newCachedThreadPool() : 작업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