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ModelAndView (3)
개발 무지렁이

SERVLET BEAN 설정을 javaBase로, @annotation 컨트롤러 클래스 자동스캔 🪅. Spring MVC 컨포넌트를 다음과 같은 @annotation으로 변환할 수 있다. web.xml => @WebServlet Handler Mapping => @RequestMapping ⚠️. MVC에서는 메서드로 호출X, URL 요청주소가 맞는 것이 중요하다. Controller => @Controller return: ModelAndView, String, void [RequestMappingController.java] ⚠️. URL 요청주소에 .do(쩜두)를 붙이는 것은 관례이다. @Controller @RequestMapping("/rem") public class RequestMapping..

Spring MVC 컴포넌트간 흐름 요청(request)만 보내면 나머지는 Spring이 알아서 한다. (1) web.xml문서에 DispatcherServlet을 등록한다.(Servlet 생성 -> 🪹 Spring container를 생성) (2) 🌱 SPRING BEAN 설정문서의 기본위치와 이름을 적는다. (/WEB-INF/springConfig/[서블릿이름]-servlet.xml or servlet-context.xml) ⚠️. spring은 🌱 SPRING BEAN 설정문서를 로딩해서 필요로하는 객체들의 lifeCycle을 관리한다. ⚠️. 🪹 Spring container에 Handler Mapping 객체, Controller 객체, ViewResolver 객체를 올려준다. (bean으로 등..

𐂂 MVC(Model View Controller)구조를 사용해야하는 이유 🧩 유지보수 및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𐁍 진입점 컨트롤러 (DispatcherServlet) front Controller 역할 하나의 Servlet을 만들어 공유(중앙집중), DispatcherServlet ⚠️ 요청(request)당 Servlet이 만들어지면, 요청주소가 다 달라져서 관리가 힘들다. 𖠃 하나의 Servlet안에서 역할을 어떻게 분산시킬 것인가 init() 기능별(key)로 매핑될 (구현객체) Controller 정보가 문서화된 actionMapping.properties를 읽어들여 매핑시킨다. (인터페이스 Controller를 규격삼아) service() 쿼리스트링에 key정보를 담고 이를 getP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