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oC컨테이너 (2)
개발 무지렁이

@SpringBootApplication: 스프링부트의 모든 설정을 관리할 때 @EnableJpaAuditing: JPA Audit이란 기능 활성화할 때 (시간에 대해서 자동으로 값을 넣어주는 기능) @EntityListeners(AuditingEntityListener.class): @CreatedDate, @LastModifiedDate..을 탐색해 엔티티변경 시 자동 업데이트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리스너를 등록할 때 @Bean: Bean을 생성할 때(❓ Bean이란: IoC컨테이너 내부에서 관리하는 객체) @Configuration: 자바클래스를 설정파일로 만들 때 (Bean을 등록할 수 있다.) @EnableWebSecurity: 스프링 시큐리티를 활성화할 때 @EnableGlobalMethodS..

IoC 컨테이너(Inversion of Control Container) Spring Framework로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성까지 관리하는 컨테이너를 말한다. ⭐.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 ❓ 의존성 주입 (Dependency Injection) :외부에서 생성된 객체를 주입받는 것을 의존성 주입이라 한다. (객체 내부에서 다른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강한 결합을 만드는 구조이다.) :IoC 원칙하에 객체간 결합도를 낮추고, 유지보수가 좋은 코드를 만들어준다. 1. 생성자 주입 ** (생성자에 @Autowired를 붙여 객체를 주입) - 간결한 코드 작성 가능 - final 변수의 생성자를 대신 만들어주는 @RequiredArgsConstructor - 생성자가 하나일때 @Autowired를 생략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