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함수 (3)
개발 무지렁이

𐂂 값으로 귀결될 수 있는 일급 자바 시민 클래스를 인스턴스화한 결과는 '값'으로 귀결되자만 클래스나 클래스 안의 메서드는 그 자체로는 값이 아니다. 이 때 값으로 귀결되지 못하는 클래스나 메서드는 이급 자바 시민이라 한다. ⚠️ int, double, ..., 객체 모두 그 자체가 값이거나 값으로 귀결되는 일급 자바 시민(일급값)이다. 메서드는 어떻게 해도 값이 아니다. 하지만 메서드를 일급 자바 시민(값)으로 만들면 프로그래밍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 자바8 : 함수를 새로운 값의 형식으로 추가하고, 함수를 값으로 취급한다. 🦉 new 연산자 : new라는 객체생성 연산자로, 객체 참조를 생성하여 인스턴스라는 값을 전달할 수 있다. 𐁍 메서드 참조 :: ::라는 연산자로, 메서드 참조를 생성해..

𐂂 함수란? 호출할 수 있는 객체, callable (1) 작업을 처리하는 코드블럭 (🧩 코드의 재사용성) (2) 객체 타입의 값이다, 함수 객체 (3) 함수는 호출되기 이전에, 함수 몸체의 어떤것도 실행되지 않는다. ➼ 🦔 함수 리터럴 함수 객체를 생성하는 표기법을 말한다. (피연산자로 사용될 때, 함수리터럴로 해석) ❓ 일급객체: 값처럼 사용할 수 있는 객체 ➼ 🦔 함수 정의 방식 (1)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 함수 호이스팅이 일어난다. (함수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가 생성, 함수 객체가 할당) (2) 함수 표현식: 함수리터럴로 생성한 함수 객체가 변수에 할당 let add = function(x, y) { return x + y; } ..

🏚️ 프레임워크 : 정해진 형태와 필요한 기능을 갖춘 뼈대를 의미한다. 즉, 자주 쓰이는 형태와 기능을 한꺼번에 제공해 개발효율을 높여주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말한다. 🚕 라이브러리 : 필요한 기능을 모아둔 코드, 함수들의 집합으로, 필요할때 호출해서 사용한다. 흐름의 주체가 누구인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가장 큰 차이는 라이브러리의 흐름의 주체는 개발자이며, 필요할 때 호출해서 실행한다. 프레임워크는 이미 흐름이 정해져 있으며, 개발자는 정해진 형태 내에서 코드를 짜 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