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컨테이너 (3)
개발 무지렁이

𐂂 도커허브(Docker Hub) docker run [이미지NAME] : 이미지의 실행 인스턴스(= 컨테이너)를 만든다. 도커허브에서 이미 존재하는 이미지 (🏅 Docker Official Image)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해당 이미지가 내 로컬에 없으면, 도커허브에서 자동으로 이미지를 가져온다. (이미지는 컨테이너에 필요한 모든 논리와 코드, 환경을 보관하고 있다.) 그렇게 가져와서 실제로 실행중인 이미지 인스턴스를 '컨테이너'라 부르는데, 컨테이너는 주변환경과 격리되어 있고, 격리*되어 실행된다. ⚠️ 컨테이너 내부에서 실행 중인 인터렉티브 쉘이 있다고 해서, 이 쉘이 사용자에게 노출된다는 의미가 아니다.(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ex. 노드에 의해 노출된 인터렉티브 쉘은 컨테이너에 의해 자동으..

호스트 OS에 도커를 설치했을 때 도커를 설치하면, 랜카드가 생성되고, 172.17.0.1(IP)라는 IP로 각 컨테이너에서 호스트 OS에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다. 즉, 각 컨테이너끼리는 통신이 되지 않지만, 부모를 경유해서 접근가능하다. ⭐. 컨테이너 하나하나가 운영체제이다. 호스트 OS안에 VB안에 CentOS안에 도커를 설치했을 때 호스트 OS와 CentOS간에는 호스트 전용 어댑터를 통해 통신하고, 도커 안의 컨테이너(OS)와 CentOS간에는 생성된 랜카드의 IP를 통해 통신한다. 호스트 OS가 무엇이든 간에 도커 안쪽은 영향받지 않는다.

🐋. 이미지(프로그램) 다운: docker pull 조회: docker images 삭제: docker rmi 🐋. 컨테이너(프로세스) 실행중 조회: docker ps 실행중 + 실행됐었던 조회: docker ps -a 삭제: docker rm 중지: docker kill ❗. 컨테이너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환경(os(?))'이며, 프로세스와 같은 맥락의 개념이기 때문에 다운로드 개념이 없다. ❗. 컨테이너는 '단발성'과 데몬(Background-process)과 같이 '영속성'이 있다. 따라서, 단발성은 docker ps에는 뜨지 않는다. 🪛. 컨테이너ID와 컨테이너 이름은 고유하다.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a772bb87a6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