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덱스 (4)
개발 무지렁이

𐂂 데이터베이스 (Database) 란 특정조직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동시사용, 질의어 사용) 구조적으로 통합된 데이터의 집합을 말한다. (중복최소화, 스키마명세) 🎲 프로그램-데이터 독립성 : 하위레벨 스키마의 변화가 상위레벨 스키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스키마(intension[내연], 구조) / 인스턴스(extension[외연], 상태) 𖠃 '정규화' 란 테이블을 분할하여 데이터의 불필요한 중복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즉, 테이블 설계 시 중복저장을 최소화하도록 구조화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는 검색효율을 높여주고, 테이블 🧩 무결성(정확한 데이터 보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 삽입/수정/삭제 성능 향상 🥯 '반정규화' 란 : 데이터 중복을 통해 성..

오큰수 / 스택 🥞 🎠. '스택(Stack)'에 값이 아닌 '인덱스(index)'를 넣어 문제를 해결할 줄 알아야 한다. [시간초과 난 코드.py] N = int(input()) stack = list(map(int, input().split())) # print(stack) len = len(stack) res = [] ano_stack = [] for i in range(len): # print("res:", res) cur = stack.pop() # print("cur:", cur) if i == 0: res.append(-1) ano_stack.insert(0, cur) continue # print("ano_stack", ano_stack) flag = 0 for ..

스택수열 🪅 각 반복문 종료조건을 명확히 알고있느냐, 종료조건을 넣을 알맞은 위치를 찾을 수 있느냐 🪅 반복문을 돌리고 나서, 스택에 데이터가 남아있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아느냐 🪅 인덱스를 만들어야 할 때를 알고 있느냐 => 바깥쪽 for문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 출력이 많을 때 StringBuilder로 출력할 수 있느냐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ack; /** * 백준 1874번 스택수열 * * 입력: * 첫 줄에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1이상 n이하의..

계수(Counting) 정렬 위치를 바꿀 필요도 없이, 세기만 하면 된다. 해당 인덱스의 Counting만큼을 출력한다. (⭐. 데이터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을 때, 사용) 🕑 시간복잡도: O(N) [ 모든 데이터를 한번씩만 접근하면 된다. ] 계수(Counting) 정렬 코드 구현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Main { static int[] A = new int[] {1, 3, 2, 4, 3, 2, 5, 3, 1, 2, 3, 4, 4, 3, 5, 1, 2, 3, 5, 2, 3, 1, 4, 3, 5, 1, 2, 1, 1, 1}; static int[] count = new int[6];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