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요청 (3)
개발 무지렁이

🪙. 토큰(Token) 기반 인증 방식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인증을 위해 토큰🪙을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1) 사용자🐽가 ID/Pwd를 제공하여 로그인을 시도한다. (2) 서버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유효한(Valid) 경우 서버측에서 토큰🪙을 발급한다. (3) 해당 토큰🪙을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4) 클라이언트는 이후 요청할 때마다, 토큰🪙을 헤더에 포함시켜 서버에 전송한다. (5) 서버는 토큰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신원과 권한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JWT(JSON Web Token)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인증을 위한 암호화된 토큰🪙을 말한다. 헤더(암호화 알고리즘) + 페이로드(사용자ID, 권한) + 서명(비밀키)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서버측에서 JWT🪙..

@SpringBootApplication: 스프링부트의 모든 설정을 관리할 때 @EnableJpaAuditing: JPA Audit이란 기능 활성화할 때 (시간에 대해서 자동으로 값을 넣어주는 기능) @EntityListeners(AuditingEntityListener.class): @CreatedDate, @LastModifiedDate..을 탐색해 엔티티변경 시 자동 업데이트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리스너를 등록할 때 @Bean: Bean을 생성할 때(❓ Bean이란: IoC컨테이너 내부에서 관리하는 객체) @Configuration: 자바클래스를 설정파일로 만들 때 (Bean을 등록할 수 있다.) @EnableWebSecurity: 스프링 시큐리티를 활성화할 때 @EnableGlobalMethodS..

웹캐시 매번 똑같은 요청에 통신하지 않도록 따로 요청에 대한 응답을 메모해두는 것 웹캐시의 단점 DB의 데이터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 => 웹캐시에 유효기간을 걸면 된다. (해당시간이 지나면 똑같은 요청이더라도 캐시를 거치지 않고 통신한다) [MemberController.java] @Controller @RequestMapping("/memb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GetMapping("/profile/img/{id}") public ResponseEntity showProfileImg(@PathVariable Long 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