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신뢰성 (2)
개발 무지렁이

HTTP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 📦 오류없는 데이터 전송 📦 순서에 맞는 전달 📦 조각나지 않는 데이터 스트림(어떤 크기로든 보낼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의 세부사항은 'TCP/IP프로토콜'에게 맡겨 🧩 신뢰성을 보장한다. 그렇다면, TCP/IP프로토콜은 무엇일까?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은 패킷교환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집합이다. (📦 패킷: 분할한 데이터, 소포) 📍. TCP 기반의 프로토콜: 텔넷(telnet), SSH ⭐ HTTP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 전송을 위해, TCP/IP프로토콜 안에서 TCP 커넥션을 맺어야한다.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사용해 클라이언트와 서버사이에 TCP 커넥션을 맺어야 한다. HOW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어떻게 알아낼 ..

🪙. 토큰(Token) 기반 인증 방식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인증을 위해 토큰🪙을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1) 사용자🐽가 ID/Pwd를 제공하여 로그인을 시도한다. (2) 서버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유효한(Valid) 경우 서버측에서 토큰🪙을 발급한다. (3) 해당 토큰🪙을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4) 클라이언트는 이후 요청할 때마다, 토큰🪙을 헤더에 포함시켜 서버에 전송한다. (5) 서버는 토큰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신원과 권한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JWT(JSON Web Token)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인증을 위한 암호화된 토큰🪙을 말한다. 헤더(암호화 알고리즘) + 페이로드(사용자ID, 권한) + 서명(비밀키)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서버측에서 JW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