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도커 (2)
개발 무지렁이

호스트 OS에 도커를 설치했을 때 도커를 설치하면, 랜카드가 생성되고, 172.17.0.1(IP)라는 IP로 각 컨테이너에서 호스트 OS에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다. 즉, 각 컨테이너끼리는 통신이 되지 않지만, 부모를 경유해서 접근가능하다. ⭐. 컨테이너 하나하나가 운영체제이다. 호스트 OS안에 VB안에 CentOS안에 도커를 설치했을 때 호스트 OS와 CentOS간에는 호스트 전용 어댑터를 통해 통신하고, 도커 안의 컨테이너(OS)와 CentOS간에는 생성된 랜카드의 IP를 통해 통신한다. 호스트 OS가 무엇이든 간에 도커 안쪽은 영향받지 않는다.

𐂂 '도커(Docker)'란 무엇일까?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도구'다. ❓ 컨테이너란 무엇일까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해당 코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종속성과 도구가 포함된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유닛(small package)'이다. 🎯 목적: 동일한 코드와 동일한 종속성 및 도구가 있는 동일한 컨테이너는 동일한 버전을 사용하는 동일한 런타임에 항상 동일한 동작과 결과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즉,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 컨테이너는 'stand alone(독립적)'으로 작동한다. ⚠️ 여기서 도커(Docker)는 컨테이너를 구축(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도구일뿐이다. ➼ 똑같은 개발환경을 갖는 것은 상당한 가치가 있다. 로컬 환경, 개발 환경에만 애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