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네트워크 (3)
개발 무지렁이

❓. nginx란 : WAS(Servlet Container)를 도와주는 '경량 웹서버'이다. server의 제일 앞단에 쓰며, DispatcherServlet 역할을 한다. nginx를 쓰게 되면 어떤 도메인으로 접근했는지 감지할 수 있고, 포워딩이 빠르다. docker run -d -p 8031:80 --name nginx_1 --rm nginx 🚀. 옵션 -d (detach): 백그라운드 모드로 실행 -p (port): 바깥쪽 8031 포트로 들어오면 안쪽 80 포트로 연결 (이 옵션을 써주지 않으면 외부에서 접근할 방법이 없다.) (도커 컨테이너는 독립적인 공간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접근이 안되는게 정상이다.) --name: 이름 설정 --rm: docker kill 되었을 때 흔적이 남지 않는다...

도메인 웹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할때, 내 브라우저가 그 서버의 ip주소를 알아야하는데, 이를 다 외울 수 없으니까 ip주소와 '매핑된' 사람이 외우기 쉬운 주소를 말한다.매핑 정보는 DNS 서버에 있다 여러 층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다. ex. 내 브라우저에서 www.naver.com 에 접속하려할 때 로컬 DNS 서버에서 해당 매핑정보를 찾는다. 없다면, Root DNS 서버에 해당 매핑정보를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물어본다 .com을 담당하는 DNS 서버의 IP주소를 반환 naver.com을 담당하는 DNS 서버의 IP 주소를 반환 호스트 네임별 ip주소들이 있는데, 그중 www에 해당하는 ip주소를 브라우저에 반환 도메인과 서버IP를 연결하는 방법 도메인을 구매하는 ..

서버(Server)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게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맡은 컴퓨터를 말한다. 서비스를 받는 '역할'이라면 클라이언트(Client)가 된다. ※ 여기서 말하는 서비스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해서 보여주거나, 기존의 저장된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거나, 업로드 받은 사진을 보관해주거나, 알림을 보내거나, 게임을 열어주는 작업 등을 말한다. 즉, 서버란 상대적인 것이다. 맛집 앱을 담당하는 서버(Server)가 있다고 할 때 이 서버(Server)는 사용자에게 맛집 정보를 전송한다 이 앱이 지리정보가 필요하다고 할 때 Naver Cloud Platform 서버(Server)에 요청해서 지리정보를 받는다 이 때 이 앱은 클라이언트(Client)가 된..